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캡스톤 및 졸업과제

[개념] 인프라 구조

 캡스톤 진행을 위해 회의를 갖던 도중, 내가 ‘인프라’, ‘네트워크’구조에 대해 정확히 모른다는 것을 깨달았다. 예를 들어 스위치, 방화벽과 같은 장비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알지만 구체적으로 인프라 구조도, 네트워크 구조도를 그려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설명해봐!, 라고 한다면 대답하지 못했다. 

 또한 이번 캡스톤 진행에서 이러한 구조를 필수적으로 알고 이해해야만 진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짚고 정리하려고 한다. 


1.1. 인프라 구성요소

  • 하드웨어
    • 물리적인 장치
  • 네트워크
    • 서버를 연결할 수 있는 도구 
    • ex)라우터, 스위치, 네트워크 장비, 케이블, 배선, 방화벽, AP등등
  • 운영체제
    •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 
    • 리소스 혹은 프로세스 관리
    • 종류
      • 클라이언트 OS : windows, Mac Os
      • 서버 OS : Linux, Windows Server 등등
  • 미들웨어
    • 서버 상에서 서버가 특정 역할을 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DBMS, 웹 서버, 시스템 모니터링 툴 등




1.2. 온프레미스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 

  • 온프레미스 on-premise 
    • 서버실에 서버를 두고 ‘직접’관리하는 방식 
    • 전통적 방식
    • 초기 투자비용이 비쌈. 사용량 예측하기 힘듦.

 

  • 퍼블릭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서비스 형태로 제공 
    • ex) AWS, GCP
    • 서비스 형태에 따라 Iaas, Saas, Paas로 분류 가능 




1.3. 하드웨어

인프라에 네트워크와 더불어 인프라 말단에 위치 

  • CPU
  • 메모리
    • HDD, SSD
  • 데이터 스토리지
  • 기타 하드웨어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VM 
  • 방화벽
    • 패킷 필터링형
      • 통과하는 패킷을 Port Num, IP주소 바탕으로 필터링
    • 프록시 서버 (게이트웨이형)

 

 

참고:https://sangbeomkim.tistory.com/87 




1.4. 인프라 구조

 네트워크 인프라가 가상화되고 다수의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에 분산되며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를 그리기 어려워짐. 

  • LLDP
    • Link Layer Discovery Protocol
    •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도를 쉽게 그리기 가능 




  • NMS
    • 네트워크 시각화 소프트웨어

 

참조 : https://velog.io/@shkim0730/what-is-network-topology